인성건강컬럼



봄나물 영양&먹는 법 나른한 당신, 팍팍 무쳐봐
냉이와 같은 봄나물은 입맛을 돋울 뿐만 아니라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식으로 손색 없다. 쑥이며 달래, 냉이, 씀바귀, 원추리, 돌나물 같은 봄나물이 한창이다. 낮이 길어져 활동량이 크게 늘었지만 입맛이 없어 식사를 소홀히 하기 쉬운 요즘, 특별한 음식을 찾기보다는 파릇파릇한 봄나물로 건강을 챙기자. 아침에 일어나기가 힘들고 영 기운이 없을 때, 스트레스가 쌓인다 싶을 때는 더 열심히 먹으면 좋다. 영양제가 따로 필요 없을 정도로 각종 비타민, 미네랄의 보고인 봄나물의 영양과 효능, 그리고 제대로 먹는 법을 알아본다. 봄이 되면 잔뜩 움츠린 채 지냈던 겨울에 비해 활동량이 크게 늘어나고 신진대사도 활발해진다. 따라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신진대사가 왕성해지면 특히 비타민이 많이 소모된다. 겨울에 비해 봄에는 3~10배 정도 많은 비타민이 필요하다. 신선한 봄나물에는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각종 비타민은 물론 칼슘, 철분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다. 그래서 춘곤증이나 나른한 피로감을 싸악~가시게 하고 감기,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봄나물 특유의 맛과 향은 뚝 떨어진 입맛을 돋우는 효과가 있다. 또 봄나물은 많이 먹더라도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다이어트식으로 손색이 없다. 한방에서는 봄나물 하면 심장을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식품으로 본다. 봄나물은 대부분 쓴맛이 나는데, 쓴맛은 심장과 관련이 깊다 봄나물을 많이 먹으면 심장이 튼튼해지면서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또한 봄나물은 푸른색을 띠고 있는데 푸른색은 간의 색으로 간의 기능을 보강해서 피로도 풀고 근육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따라서 겨우내 체내에 쌓였던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데도 좋다. ◇ 쑥 엽록소가 다른 나물보다 특히 많고 항암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 스트레스․피로를 푸는 데 좋은 비타민 B, C 등이 풍부하다. 비타민 C는 같은 양의 딸기나 귤보다도 많을 정도다. 성질이 따뜻해서 평소 냉증, 갱년기장애 등이 있는 여성에게 더욱 좋다. 봄나들이 가서 상처가 났을 때 약이 없다면 쑥을 찧어 붙이면 지혈효과가 있다. 국에 넣거나 가루내어 차로 마시면 좋다. 또는 환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 ◇ 냉이 야채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 철분 등의 미네랄도 풍부하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많은데, 냉이 100g에는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 A가 3분의 1이나 들어 있다. 또 간에 좋은 작용을 하는 콜린 성분이 들어 있어 숙취해소 효과도 기대된다. 국에 넣거나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무쳐 먹어도 맛있다. 하지만 몸이 찬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게 좋다. ◇ 씀바귀 고들빼기로 불리는 씀바귀는 쓴맛이 식욕을 돋우는 것은 물론 소화기능을 돕고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또 항스트레스, 항산화효과, 노화방지에 좋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도 있다. 뿌리가 노란색이 짙고 지저분하지 않은 것으로 골라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먹는다. 강한 쓴맛은 데친 다음 찬물에 담가두면 어느 정도 없어진다. ◇ 달래 맛이 매운 달래는 비장과 신장 기능을 돕는다. 스태미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남성에게 좋은 봄나물로 꼽힌다. 찌개나 국에 많이 넣는데 겉절이를 해먹어도 상큼해서 좋다. 고를 때는 잎의 색이 진하고 싹이 가늘며 뿌리가 하얄수록 좋다. ◇ 두릅 쓴맛을 내는 사포닌 성분이 혈액순환을 도와 피로회복에 좋다. 혈당을 낮춰 당뇨가 있는 경우에도 좋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