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건강컬럼



겨울철 운동, 이렇게 해야 건강 지킨다
본격적인 추위가 찾아왔다. 따뜻한 기온 속에 하는 운동과 영하의 맹추위에 하는 운동이 같을 수는 없는 법. 준비없이 젊음을 과시하다 부상 등으로 낭패를 당하는 수가 많다.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겨울철 운동법을 알아보자. ◇ 준비운동 평소보다 2배 더 추운 날씨는 근육을 긴장시킨다. 또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는 몸은 혈관이 수축 되는 등 자율 신경계가 위협을 받는다. 이때 혈압이 상승하면서 뇌졸증.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반드시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 준비 운동을 할 때는 실내에서 5~10분 정도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준다. 그 후 다시 실외에서 5~10분 준비운동을 한다. 그 보다 앞서 자신의 몸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아침에 일어나 안정된 상태에서 맥박을 재보는 것이 좋다. 분당 맥박이 80회 이상이면 주의하고 100회 이상이면 운동을 포기하는게 좋다. ◇새벽운동은 금물 겨울에는 고혈압. 당뇨. 비만이 있는 사람이나 처음으로 본격적인 운동을 하려는 사람은 실내에서 하는게 좋다. 평소에 꾸준히 운동을 해온 사람이라면 실외 운동도 큰 무리는 없다. 하지만 새벽 운동은 피해야 한다. 새벽 공기가 상쾌하다고 느껴지지만 하루 중 대기 오염이 가장 심각한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대신 햇살이 비교적 따스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운동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고혈압이나 협심증 등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추운 아침에 운동하는 것을 절대 금해야 한다. 당뇨병이 심한 사람에겐 등산이 효과적이지만 그렇다고 아침 등산을 해서는 안된다. 운동중에 호흡곤란을 느끼는 사람들은 겨울철 운동시 찬 공기를 조심해야 한다. ◇겨울철 복장은 충분히 따뜻하게 겨울 운동은 에너지 손실이 많다. 체온 손실의 50% 정도는 외부로 노출된 얼굴과 머리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크. 모자가 달린 방수자켓. 장갑 등을 구비해야 한다. 겨울철에 땀을 많이 흘리는 건 좋지 않다. 찬바람을 막기위해 통풍이 전혀 안되는 땀복을 입고 운동하는 건 ‘절대’ 좋지 않다. 땀을 많이 흘리면 체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때문에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여러 벌 겹쳐 입는 것이 좋다. 이영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