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운동, 이렇게 해야 건강 지킨다 |
---|
본격적인 추위가 찾아왔다. 따뜻한 기온 속에 하는 운동과 영하의 맹추위에 하는 운동이 같을 수는 없는 법. 준비없이 젊음을 과시하다 부상 등으로 낭패를 당하는 수가 많다.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겨울철 운동법을 알아보자. ◇ 준비운동 평소보다 2배 더 추운 날씨는 근육을 긴장시킨다. 또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는 몸은 혈관이 수축 되는 등 자율 신경계가 위협을 받는다. 이때 혈압이 상승하면서 뇌졸증.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반드시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 준비 운동을 할 때는 실내에서 5~10분 정도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준다. 그 후 다시 실외에서 5~10분 준비운동을 한다. 그 보다 앞서 자신의 몸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아침에 일어나 안정된 상태에서 맥박을 재보는 것이 좋다. 분당 맥박이 80회 이상이면 주의하고 100회 이상이면 운동을 포기하는게 좋다. ◇새벽운동은 금물 겨울에는 고혈압. 당뇨. 비만이 있는 사람이나 처음으로 본격적인 운동을 하려는 사람은 실내에서 하는게 좋다. 평소에 꾸준히 운동을 해온 사람이라면 실외 운동도 큰 무리는 없다. 하지만 새벽 운동은 피해야 한다. 새벽 공기가 상쾌하다고 느껴지지만 하루 중 대기 오염이 가장 심각한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대신 햇살이 비교적 따스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운동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고혈압이나 협심증 등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추운 아침에 운동하는 것을 절대 금해야 한다. 당뇨병이 심한 사람에겐 등산이 효과적이지만 그렇다고 아침 등산을 해서는 안된다. 운동중에 호흡곤란을 느끼는 사람들은 겨울철 운동시 찬 공기를 조심해야 한다. ◇겨울철 복장은 충분히 따뜻하게 겨울 운동은 에너지 손실이 많다. 체온 손실의 50% 정도는 외부로 노출된 얼굴과 머리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크. 모자가 달린 방수자켓. 장갑 등을 구비해야 한다. 겨울철에 땀을 많이 흘리는 건 좋지 않다. 찬바람을 막기위해 통풍이 전혀 안되는 땀복을 입고 운동하는 건 ‘절대’ 좋지 않다. 땀을 많이 흘리면 체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때문에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여러 벌 겹쳐 입는 것이 좋다. 이영선기자 |
![]() |
주소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1길25 H-비지니스파크 A동 1103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