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충제 먹어야 한다 vs 먹지 않아도 된다 |
---|
구충제 먹어야 한다 vs 먹지 않아도 된다 ㅡ구충제를 꼭 먹어야 하나. ▷어느 국가에 거주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가령 기생충이 많이 있는 나라라면 구충제를 챙겨 먹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필수'까지는 아니다. 기생충 감염률이 2~3%에 그치기 때문이다. 구충제를 안 먹었다고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소수라도 2~3%의 감염자가 있으므로 먹어서 나쁠 건 없다.
ㅡ그런데 왜 '구충제는 봄·가을로 챙겨 먹어야 한다'는 말이 나온 건가. ▷과거 1960~1970년대 우리나라는 '기생충 왕국'이라고 할 정도로 감염률이 높았다. 60~70%의 국민이 기생충에 감염됐으니 말이다. 1년에 두 번은 당연히 먹는 걸로 생각했다.
기생충의 종류가 다양한데 당시엔 회충, 현충 등 토양 매개성 기생충에 많이 감염됐다. 야채나 채소를 재배할 때 인분 비료를 썼기 때문이다. 이후 화학 비료를 사용하면서 이 기생충에 감염되는 확률이 낮아졌다. 북한의 경우엔 비싼 화학 비료 대신 아직도 인분 비료를 써 기생충 감염률이 높은 편이다.
ㅡ그렇다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2~3%는 어느 경로를 통해 기생충에 감염되는 것인가. ▷대부분 식품을 통해 감염된다. 민물 생선을 날로 섭취하거나 바다 생선의 내장을 먹으면 디스토마라 불리는 흡충성 기생충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진다. 중국산 김치도 문제가 될 수 있다.
ㅡ시중 약국에서 파는 구충제로 웬만한 감염은 막을 수 있는 것인가. ▷구충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한다. 회충, 편충 등 장내 기생충은 약국에서 파는 구충제로 없앨 수 있다. 반면 앞서 얘기한 민물 생선을 날로 먹었을 때 생기는 흡충류 감염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허용된 용량의 10배 이상을 섭취할 경우 위험하다는 판단에서 현재까지는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만 약을 지을 수 있었다. |
![]() |
주소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1길25 H-비지니스파크 A동 1103호 |